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정치/행정 >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해양수산부 해양쓰레기 처리사업 국조보조율 상향 필요
- 지난해 해양쓰레기 추정 발생량 14만5천톤, 수거량은 9만5천톤에 불과 -
기사입력  2019/07/11 [14:35]   송현용 기자
▲     박완주 국회의원

 

지난해 해양쓰레기 추정 발생량이 145천톤에 달하는 가운데, 수거량은 95천톤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수거된 해양쓰레기 95천톤 중 90%를 지방자치단체가 책임지고 있는 만큼, 해양수산부(이하 해수부)가 해양쓰레기 처리를 위한 지자체 국비지원을 늘려 해양환경 보전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박완주 의원(더불어민주당·충남 천안을)이 해수부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해양쓰레기 추정 발생량은 145,258톤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5년 전 2013년 추정 발생량인 176,807톤에 비해 31,549톤이 줄어든 수치다.

 

[1] 해양쓰레기 관리 기본계획상 발생량 추정치

(단위 : )

구분

세부 구분

2차 계획

3차 계획

 

증감량

총량 대비비율(%)

육상기인

하천 유입

25,550

26,108

558

18.0

해안가

7,275

7,554

279

5.2

홍수기 초목

85,612

61,152

24,460

42.1

소계

118,437

94,814

23,623

65.3

해상기인

어선어업

46,428

38,616

7,812

26.6

양식업

4,382

6,462

2,080

4.4

항만

7,560

5,366

2,194

3.7

소계

58,370

50,444

7,926

34.7

합계

 

176,807

145,258

31,549

100.0

 

해양쓰레기 수거량도 함께 늘어났다. 201349,080톤에 불과했던 수거량은 지난해 95,631톤으로 2배 가까이 증가했다. 그러나 지자체가 수거한 해양쓰레기는 동 기간 37,015톤에서 86,621톤으로 2배 이상 증가한 반면, 공단 등 정부기관이 수거한 해양쓰레기는 12,065톤에서 9,010톤으로 오히려 줄어들었다. 지난해 해양쓰레기 총 수거량 86,621톤 중 지자체 수거량이 90%에 달하는 상황이다.

 

                  [2] 각 지자체 및 기관별 해양쓰레기 수거량 현황

(단위 : )

분류

기관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지자체

부산

1,000

6,963

4,079

2,952

3,163

3,439

인천

3,086

3,684

1,997

1,009

2,557

1,928

울산

1,187

1,395

1,232

1,785

1,151

1,731

경기

278

1,714

2,353

1,250

1,033

1,175

충남

5,080

7,350

5,541

9,379

10,316

11,471

경북

1,221

2,734

1,251

3,310

4,098

2,705

경남

14,713

9,291

9,154

10,072

15,068

11,856

전북

804

2,613

1,840

2,015

2,353

3,437

전남

7,958

17,344

15,735

21,589

19,657

32,618

강원

1,082

1,981

3,145

1,930

2,401

4,521

제주

606

8,933

13,283

5,403

10,714

11,740

소계

37,015

64,002

59,610

60,694

72,511

86,621

공단

해양환경공단

11,131

11,100

8,331

8,091

7,484

6,791

어촌어항공단

934

1,834

1,188

2,055

2,181

2,219

소계

12,065

12,934

9,519

10,146

9,665

9,010

합계

49,080

76,936

69,129

70,840

82,176

95,631

 

이처럼 해양쓰레기 처리는 사실상 주무부처인 해수부가 아닌, 지자체가 책임지고 있는 형국이지만 해수부가 지원하는 해양쓰레기 처리사업의 국조보조율은 매우 낮은 상황이다.

 

지자체를 대상으로 하는 국비지원 사업 중 해양쓰레기 정화, 강하구 해양쓰레기 처리, 해양쓰레기 피해 복구 등 3개 사업의 경우 국고보조율이 50%에 불과하고, 특히 바다환경지킴이 지원사업의 경우 유일하게 국고보조율이 30%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지자체의 쓰레기 수거량이 90%에 달하는 점을 비춰봤을 때, 현저하게 낮은 보조율이다.

 

[3] 해양쓰레기사업 ‘20년 해양수산부 부처안 현황

구 분

내역사업

(세부사업)

집행주체

(국비:지방비)

예산(백만원)

비고

’19

’20 요구

총 계

 

 

60,973

117,381

 

발생원

관리

폐어구·폐부표 자율회수 시범 사업

(해양폐기물 정화)

국가

(100%)

1,705

2,340

폐부표 1020개소

폐어구 48개소

친환경부표

(친환경 어구 보급)

지자체

(35:35)

3,500

7,000

친환경부표

50만개100만개

소 계

 

5,205

9,340

 

해안폐기물 수거·처리

해양쓰레기 정화

[해양 및 수자원 관리(균특)해양폐기물 정화]

지자체

(50:50)

6,435

13,810

회계 변경(균특수발),
보조율 상향(50%70%) 추진

바다환경지킴이 지원

(해양폐기물 정화)

지자체

(30:70)

810

10,400

인원 확대(2001,000)

보조율 상향(3070%) 추진

단가인상(9천원만원)

강하구 해양쓰레기 처리

(연안관리)

지자체

(50:50)

500

1,750

보조율 상향(50%70%),

대상 확대 추진

(기존 금강, 낙동강+한강, 영산강, 섬진강)

해양쓰레기 피해 복구

(연안관리)

지자체

(50:50)

500

1,400

보조율 상향

(50%70%) 추진

폐스티로폼 감용기 보급

(연안관리)

지자체

(80:20)

200

600

3대 요구

낚시터 환경개선

(낚시산업 선진화)

지자체

(30:70)

660

-

지방이양사업

해양보호구역관리

(해양보호구역관리)

지자체

(70:30)

360

360

 

방치선박 정리지원

(연안관리)

지자체

(50:50)

100

-

지방이양사업

도서지역 쓰레기 관리

(해양폐기물 정화)

지자체

(70:30)

-

14,000

8, 설계건조비(1년차 사업비, 50%)

처리시설 설치

(해양폐기물 정화)

지자체

(70:30)

-

7,000

2개소, 1년차 사업비(33%)

소 계

 

9,565

49,320

 

부유폐기물 수거·처리

청항선 관리

(청항선 관리 및 선박폐유수거 처리)

국가

12,950

16,534

신조선 인건비 등

소 계

 

12,950

16,534

 

침적폐기물 수거·처리

침적폐기물 수거

(해양폐기물 정화)

국가

6,688

10,204

수거물량 40%

유실·침적 어구 수거처리

(연안어장 생산성개선 지원)

국가

7,600

8,888

유령어업 방지시스템 등

어항관리선 운영

(국가어항관리)

국가

10,795

10,841

작업보조 보트(4)

조업중 인양 쓰레기 수매

(해양 및 수자원 관리)

지자체

(50:50)

2,922

-

지방이양사업

해양쓰레기 선상집하장

(해양 및 수자원 관리)

지자체

(50:50)

1,218

-

지방이양사업

소 계

 

29,223

29,933

 

조사·연구

해안쓰레기 모니터링

(해양폐기물 정화)

국가

300

450

모니터링 정점 추가(4060)

도서지역 쓰레기 실태조사

(해양폐기물 정화)

국가

600

-

종료

해양미세플라스틱 환경위해성 연구

(해양수산환경 기술개발)

국가

2,300

2,174

 

해양플라스틱 쓰레기 저감 기술개발

(해양플라스틱쓰레기 저감 기술개발)

국가

-

6,500

 

해양미세플라스틱 분포 정기조사

(해양환경 감시체계 구축운영)

국가

-

1,700

해수해양생물 25개 정점,해변 20개 정점

소 계

 

3,200

10,824

 

인식증진

해양쓰레기 줄이기 인식증진

(해양폐기물 정화 사업)

국가

560

1,160

인식증진 증액 소요

연안어장 환경개선 교육홍보

(연안어장 생산성 개선 지원)

국가

270

270

 

소계

 

830

1,430

 

 

* 출처 : 해양수산부

박완주 의원은 해양쓰레기 문제는 범국가적 문제인 만큼, 재정이 열악한 지자체에게 해양쓰레기 처리를 떠넘기는 것은 무책임한 행정이라는 점을 지적하면서 해수부는 기재부를 상대로 해양쓰레기 사업 국고보조율 상향을 강력하게 요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해수부는 지난해 국정감사부터 이어진 박완주 의원의 해양쓰레기 처리사업 국조보조율 상향 요구에 따라, 해당 사업들의 국조보조율을 최대 70%까지 상향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 송현용 기자

 

ⓒ knn.pe.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2023 천안 K-컬처 박람회' 드론쇼
주간베스트 TOP10